정현빈 멘토(서울대 의과대학)

 

 

 

 

학생들을 만나다 보면

“저 수학은 꽤 잘해요”

이런 말을 듣습니다.

실제로 1등급을 받고 있다면, 그 말이 틀린 건 아니죠.

하지만 수능 만점을 받아본 입장에서 말하자면,

1등급은 잘하는 게 아니라, 아직 틀릴 수 있는 단계입니다.

그리고 그 틈을 메우는 방법은 ‘개념 공부’입니다.


저도 수학을 꽤 잘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현역 수능을 준비할 때, 수학을 자신 있는 과목이라고 생각했어요.

실제로 모의고사에서 항상 1등급이 나왔고,

당연히 수능도 잘 볼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만점’은 아니었죠.

그래서 재수할 때 저는 마음을 고쳐먹었습니다.

 

“내가, 생각보다 모르는 게 많을지도 모르겠다.”

이렇게요.


개념서를 다시 펴니, 약점이 보이기 시작

 

1등급이 나왔기 때문에, 사실 약점이 거의 없을 거라 생각했어요.

그런데 개념서를 처음부터 다시 보면서 느꼈습니다.

 

“어라? 이건 왜 이렇더라?”

“이 개념은 예외가 있었나?”

“이 정의가 적용되지 않는 상황은 뭐지?”

이런 질문이 쏟아졌고,

제 수학 개념의 바닥은 생각보다 구멍이 많았습니다.


1등급과 만점 사이, 그 얕고도 깊은 간극

 

현역 때의 저도 분명히 실력 있는 학생이었습니다.

하지만 수능 만점을 받고 나서 돌아봤을 때,

그때의 실력과 지금의 실력 사이에는 상상 이상으로 큰 차이가 있었어요.

문제는 뭐냐면,

자신이 그 간극을 인지하지 못한 채 자만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개념을 이렇게 공부했습니다

 

✔️ 개념서를 다시 처음부터, 모르는 것처럼

✔️ 정의와 조건을 말로 설명

✔️ 적용 사례와 반례 스스로 정리

✔️ 문제를 틀리면 해설보다 개념서로 돌아가기

✔️ “이 개념이 없으면 어떤 문제가 틀릴까?”를 스스로에게 묻기

 

이건 단순한 복습이 아니라

사고 체계를 정리하고 단단히 다지는 과정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질문은 똑같이, 제가 가르치는 아이들에게 적용됩니다.

'개념을 안다'는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분명히 자신의 것이 맞는지 확인시켜주기 위해서입니다.


여러분에게 전하고 싶은 말은...

 

1등급을 받는 실력이라도 그 안에는 반드시 구멍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구멍은 개념서 안에 있습니다.

그걸 찾아내는 건 여러분의 겸손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이렇게 생각해 주세요.

 


“나는 개념을 안다”가 아니라

“나는 놓친 개념이 있을 수 있다”

라고요.

 

그 태도로 개념을 다시 들여다보는 순간,

1등급을 넘어서 진짜 실력자가 됩니다.

제목
수능 만점자가 얘기하는 개념학습의 본질 file
수학 점수가 기복이 심해? 문제는 공부법이야! file
경기고 진학을 희망하는 후배들에게 file
자사고, 이런 학생에게 추천합니다 (1) file
시험을 좇지 마라, 영어 감을 키우면 점수는 따라온다 file
빨리 푸는 것보다 ‘내 힘으로 이해하는 시간’이 중요합니다 file
공부 안 해본 시절이 있었기에 그 마음 알죠 file
선행보다 중요한 것, 기초 진단입니다 file
자사고 진학, 막연한 동경보다 준비가 먼저 file
태도를 바꾸면 1등급, 됩니다 file
감으로 푸는 국어, 언제까지 계속할 건가요? file
여름방학, 수학 1개 등급을 올리는 절호의 기회 file
상위권을 향한 수학 공부 전략(2) - 수능편 file
‘풀었다’고 끝내지 마라– 생명과학 제대로 공부하는 법 file
수학 등급대별 무엇을 보완해야 하나 file
상위권을 향한 수학 공부 전략(1) - 내신편 file
암기를 싫어하는 이과생을 위한 과학 공부법 file
앉아 있는 힘이 공부의 시작입니다 file
"우리 아이는 왜 공부를 안 할까요?" file
수학은 양치기? 100문제 풀지말고 10문제만 풀자! file
태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