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영쌤.png

 


 

아이 스스로 당당하게 세상 위에 설 수 있게 이끄는 멘토, 이지영입니다

 


“나를 사랑하니까 나는 공부한다.”

 

    한 교육업체의 광고문구지만, 왜 공부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훌륭한 문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왜 공부를 하나요? 1등 성적표 가져오면 엄마가 좋아하니까? 좋은 대학에 들어가면 아빠가 자랑스러워하시니까? 엄마친구 딸하고 비교되기 싫으니까? 아빠친구 아들 때문에 기죽지 않으려고? 공부가 성적 그 자체, 대학 그 자체로 본말전도된 세상이라 왜 공부하는지를 모두 잊어버린 모양입니다.

 

    어릴 때는 힘든 일이나 곤란한 일이 있어도 부모님의 도움 아래 판단하고 해결할 수 있지만, 사회에 발을 디디게 되면 더 이상 부모님이 도와주실 수 없는 일들 투성이인 곳이 세상입니다. 가령, 장래희망이 판사라고 합시다. 폭행사건으로 기소된 가해자와 피해자가 각기 판사 앞에서 자기 입장을 강변합니다. 이 사람 얘길 들어보면 이 사람 얘기가 옳고, 저 사람 얘길 들어보니 저 사람 얘기가 또 옳네요. 그럼 판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엄마한테 가서 물어볼까요?

 

공부는 결국 세상을 살면서 부딪치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우는 것입니다.

 

    미분적분 배워서 슈퍼마켓에서 물건 살 때 쓰냐고, 프랑스혁명의 원인을 몰라도 사는데 지장 없다고 농담 삼아 얘기들 합니다. 수학을 배움으로써 문제를 단계별로 해결하는 논리적인 사고력이 발달하고 역사를 앎으로 인해 과거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고 한 걸음 더 멀리 내딛을 수 있다는 것은 생각해보지 않고서. 왜 공부를 하는지에 대한 것부터 정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모님의 걱정과 염려도 결국 자녀가 잘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지만 아이가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본인도 모르는 상태에서는 그저 잔소리와 간섭에 불과합니다. 오히려 공부에 대한 부담감과 거부감만 생길 수 있지요. 아이로 하여금 자신이 왜 공부하는지 그 이유를 정확히 깨닫게 한다면 공부하려는 의지도 태도도 정립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의 기대나 선생님의 권유 때문이 아니라 나를 위해서 하는 것이니까요.

 

하지만 의욕만 앞선다고 다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달리기를 잘 한다고 해서 다 결승선에 도달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방향을 제대로 설정하고 결승점에 도달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그것도 내게 맞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누구도 대신 해주지 못하는 (걱정은 대신 많이 해줍니다만^^) 공부, 그 외로운 싸움을 지치지 않고 계속 달려나갈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바로 진정한 멘토 아닐까요.

 

    자신의 미래를 위해, 앞으로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나 자신을 위해 공부할 수 있도록 그래서 세상을 향해 도약할 수 있도록 디딤돌을 놓아주려고 합니다. 그것이 먼저 공부하고 먼저 입시를 통과하고 먼저 세상을 살아본 인생 선배로서 후배들을 도울 수 있는 제일 좋은 방법일테니까요.

 


연세대 신문방송학과 졸업

 

제목
설은수 수학 멘토 / 서울대 기계항공공학과 졸업 File
  • 이지영 멘토 / 연세대 신문방송학 졸업

    아이 스스로 당당하게 세상 위에 설 수 있게 이끄는 멘토, 이지영입니다 “나를 사랑하니까 나는 공부한다.” 한 교육업체의 광고문구지만, 왜 공부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훌륭한 문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왜 공부를 하나요? 1등 성적표 가져오면 엄마가 좋아하니까? 좋은 대학에 들어가면 아빠가 자랑스러워하시니까? 엄...

  • 천예은 멘토 / 연세대 식품공학 졸업

    아이들이 꿈을 향해 한 발자국씩 나아갈 수 있도록 이끄는 멘토가 되겠습니다 당장 코앞으로 다가온 수학 시험이, 한 아이에게 있어서는 인생에서 겪는 가장 큰 시련일 수 있습니다. 엄마를 실망시킬까 두렵고, 선생님에게 혼날까 두려운 아이에게 ‘그까짓 걸 가지고 뭘 그러니, 우리 때는 더했어.’ 혹은 ‘어른이 되면 그보...

  • 조소나 멘토 / 연세대 교육학 졸업, 대전외고 졸업

    아이들의 꿈을 찾아주는 멘토, 조소나 입니다 “꿈이 있는 삶, 그것을 위해 공부한다.” 제가 지금 이 자리까지 오게 된 것은 고등학교 3학년 때의 담임 선생님의 한 마디 때문이었습니다. 학기 초, 성적이 떨어지는 걸 본 담임 선생님은 다른 말씀은 안 하시고 그렇게 말하셨습니다. “다른 사람들처럼, 그냥 평범하게 살고 싶...

  • 정빛아름 멘토 / 연세대 정치외교학 졸업, 상산고 졸업

    스스로 공부하는 법을 터득하지 않은 공부는 한계가 명확합니다 스스로 공부해본 적 없는 학생은 혼자서는 아무 것도 하지 못합니다. 반대로 자기주도적 학습에 익숙한 학생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합리적 계획을 세우고 자신의 목표를 이룰 수 있습니다. 저는 지방도시인 진주에서 중학교를 졸업해 전주 상산고등학교로 진학...

  • 김태호 멘토 / 연세대 법학 졸업

    더 높은 꿈과 목표로 멘티들의 공부의 길을 찾아주는 멘토가 되겠습니다 ‘공부’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힘’이라는 뜻으로 나와있습니다. 무작정 단어를 암기하거나, 문제집을 풀고, 학원에서 강의를 듣는 것만이 공부의 전부가 아니라, 그야말로 인생살이에서 필요한 모든 것들을 배우고 ...

태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