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기 제시형 문제', 해석 틀을 읽는 연습
- 국어 공부법 멘토
- 첨부 7개
- 007.png [File Size:371.9KB]
- 001.png [File Size:1.07MB]
- 002.png [File Size:710.3KB]
- 003.png [File Size:676.7KB]
- 004.png [File Size:608.8KB]
- 005.png [File Size:702.0KB]
- 006.png [File Size:682.9KB]
윤현규 멘토(고려대 국어국문학)
수능 국어에서 기출 분석이 특히 빛을 발하는 유형이 있습니다.
바로 '보기 제시형 문제'입니다.
이 유형은 단순한 문제풀이가 아니라,
보기를 통해 작품을 해석하는 틀을 파악할 수 있어야 정답에 도달할 수 있는 유형입니다.
1. 보기는 그냥 ‘힌트’가 아니다
보기 제시형 문제는 갈래에 따라 약간 다르게 출제되지만,
공통적으로는 작품에 대한 해설이나 형식 설명이 담깁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 보기가 곧 평가원이 제시하는 해석의 틀이라는 것.
-
작품이 어렵다면 더더욱 보기의 역할이 커집니다.
-
특히 EBS 연계 작품처럼 난이도가 높은 경우, 보기 없이 스스로 해석하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보기를 단순 참고자료가 아닌 ‘공식’처럼 활용해야 합니다.
2. 보기는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방법은 단 하나.
보기를 작품에 그대로 대입해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2022학년도 수능에서는 이육사의 시 「초가」가 출제됐습니다.
시 자체는 굉장히 난해합니다.
-
고어, 한자어, 생소한 표현들…
-
"묵화 한 폭 좀이 쳐" 같은 구절은 처음 보면 감도 안 옵니다.
그런데 보기에 이렇게 나와 있었어요:
“시상이 낭만적인 봄에서 비극적인 겨울로 진행된다.”
이걸 믿고 적용해보면 됩니다.
-
초반부에 고향, 봄, 따뜻함 → 낭만적인 분위기
-
후반부에 서리발, 겨울, 쓸쓸함 → 비극적인 전환
👉 그러면 “아, 보기에서 말한 시상 전환이 여기서 일어났구나!” 하고
그 흐름대로 선지를 정리하면 됩니다.
3. 정답률이 낮았던 이유는?
이 문제의 정답률은 50%도 안 됐습니다.
놀라운 건,
학생 절반 이상이 실력 부족이 아닌 '보기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아서' 틀렸다는 것.
보기를 보고도
-
그냥 읽고 지나치거나
-
스스로 해석하려 하다가
-
정답과 멀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기출 분석을 통해 이런 패턴을 반복해서 접하면, 보기가 해석의 핵심이라는 사실을 체득할 수 있습니다.
4. 기출은 공식이다
보기 제시형 문제는 감으로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패턴을 익히고, 해석 틀을 반복적으로 적용해보는 분석과 숙련이 핵심입니다.
즉,
-
기출 = 평가원이 제시한 해석 공식의 데이터베이스
-
보기 = 그 문제만의 해석 공식을 보여주는 창
이것을 의식하지 못하면 실력보다 ‘틀의 부재’로 인해 무너지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 요약
-
보기 제시형 문제는 ‘작품 해석의 공식’을 담고 있다.
-
보기 문장을 그대로 작품에 대입해보는 것이 핵심.
-
보기를 무시하면 스스로 시험을 어렵게 만드는 셈.
-
기출을 통해 보기를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패턴을 익혀야 한다.
-
실력보다 ‘틀의 부재’가 문제인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