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현규 멘토(고려대 국어국문학)

 

 

수능 국어에서 기출 분석이 특히 빛을 발하는 유형이 있습니다.

바로 '보기 제시형 문제'입니다.

이 유형은 단순한 문제풀이가 아니라,

보기를 통해 작품을 해석하는 틀을 파악할 수 있어야 정답에 도달할 수 있는 유형입니다.

 


 

 

1. 보기는 그냥 ‘힌트’가 아니다

 

보기 제시형 문제는 갈래에 따라 약간 다르게 출제되지만,

공통적으로는 작품에 대한 해설이나 형식 설명이 담깁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 보기가 곧 평가원이 제시하는 해석의 틀이라는 것.

  • 작품이 어렵다면 더더욱 보기의 역할이 커집니다.

  • 특히 EBS 연계 작품처럼 난이도가 높은 경우, 보기 없이 스스로 해석하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보기를 단순 참고자료가 아닌 ‘공식’처럼 활용해야 합니다.


2. 보기는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방법은 단 하나.

보기를 작품에 그대로 대입해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2022학년도 수능에서는 이육사의 시 「초가」가 출제됐습니다.

 

시 자체는 굉장히 난해합니다.

  • 고어, 한자어, 생소한 표현들…

  • "묵화 한 폭 좀이 쳐" 같은 구절은 처음 보면 감도 안 옵니다.

그런데 보기에 이렇게 나와 있었어요:

“시상이 낭만적인 봄에서 비극적인 겨울로 진행된다.”

 

이걸 믿고 적용해보면 됩니다.

  • 초반부에 고향, , 따뜻함 → 낭만적인 분위기

  • 후반부에 서리발, 겨울, 쓸쓸함 → 비극적인 전환

👉 그러면 “아, 보기에서 말한 시상 전환이 여기서 일어났구나!” 하고

그 흐름대로 선지를 정리하면 됩니다.

 


3. 정답률이 낮았던 이유는?

 

이 문제의 정답률은 50%도 안 됐습니다.

놀라운 건,

학생 절반 이상이 실력 부족이 아닌 '보기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아서' 틀렸다는 것.

보기를 보고도

  • 그냥 읽고 지나치거나

  • 스스로 해석하려 하다가

  • 정답과 멀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기출 분석을 통해 이런 패턴을 반복해서 접하면, 보기가 해석의 핵심이라는 사실을 체득할 수 있습니다.


4. 기출은 공식이다

 

보기 제시형 문제는 감으로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패턴을 익히고, 해석 틀을 반복적으로 적용해보는 분석과 숙련이 핵심입니다.

즉,

  • 기출 = 평가원이 제시한 해석 공식의 데이터베이스

  • 보기 = 그 문제만의 해석 공식을 보여주는 창

이것을 의식하지 못하면 실력보다 ‘틀의 부재’로 인해 무너지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 요약

 

  • 보기 제시형 문제는 ‘작품 해석의 공식’을 담고 있다.

  • 보기 문장을 그대로 작품에 대입해보는 것이 핵심.

  • 보기를 무시하면 스스로 시험을 어렵게 만드는 셈.

  • 기출을 통해 보기를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패턴을 익혀야 한다.

  • 실력보다 ‘틀의 부재’가 문제인 경우가 많다.

제목
공부 안 해본 시절이 있었기에 그 마음 알죠 file
선행보다 중요한 것, 기초 진단입니다 file
자사고 진학, 막연한 동경보다 준비가 먼저 file
태도를 바꾸면 1등급, 됩니다 file
감으로 푸는 국어, 언제까지 계속할 건가요? file
여름방학, 수학 1개 등급을 올리는 절호의 기회 file
상위권을 향한 수학 공부 전략(2) - 수능편 file
‘풀었다’고 끝내지 마라– 생명과학 제대로 공부하는 법 file
수학 등급대별 무엇을 보완해야 하나 file
상위권을 향한 수학 공부 전략(1) - 내신편 file
암기를 싫어하는 이과생을 위한 과학 공부법 file
앉아 있는 힘이 공부의 시작입니다 file
"우리 아이는 왜 공부를 안 할까요?" file
수학은 양치기? 100문제 풀지말고 10문제만 풀자! file
상위권을 위한 영어 공부법 file
'보기 제시형 문제', 해석 틀을 읽는 연습 file
'발췌형 문제'를 푸는 올바른 방법 file
'정서/시상 문제'를 단순화하라 file
수능 국어 기출 분석의 필요성(1) file
전교 1등의 수학 내신 준비, 이렇게 다릅니다 file
태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