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서울대 수학과 진세인 멘토입니다.

저는 서울대에 수시로 진학했고, 지금도 여러 대학에 수시 진학을 생각하며 생활기록부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들을 돕고 있습니다.

그런데 멘토링 활동 중에서뿐만이 아니라 과거 학원에서 일하거나 과외를 하던 시기의 경험을 되돌아보면, 절대 다수의 학생들이 생기부를 작성할 때 공통적으로 실수하는 사안이 하나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너무 어렵게 쓴다는 것입니다.

 

너무 어렵게 쓴다는 것은 정확히 무엇을 뜻할까요?

우선 제가 단순히 생기부 내용이 어려우면 안 된다고 말하는 대신 너무 어렵게 쓰는 것이 학생들이 저지르는 실수라고 말했다는 점에 주목해주시길 바랍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너무”를 “일정한 정도나 한계를 훨씬 넘어선 상태로”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학생들이 일정한 정도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지나치게 어렵게 쓰는 것이 문제라고 봅니다.

 

주로 입학에 높은 성적대를 요하는 대학을 지망하는 학생들에게서 이런 성향이 강하게 드러나곤 하는데, 어렵다는 것은 달리 말해 전문적이라는 것입니다.

수능은 “수학 능력 시험”의 줄임말이고, 그 이름대로 수능 성적은 학생이 대학에서 수학할 능력을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입니다.

마찬가지로 생기부 또한 학생이 대학에서 학업에 어떻게 임할 수 있을지 평가하는 데 활용되는 자료이니, 생기부를 통해 본인의 학업상 전문성을 보이고 싶다는 방향성 자체는 당연히 타당합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열의가 과하게 앞선 나머지 생기부 내용이 너무 어려워질 때 생기부는 오히려 학생의 대입에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그리고 생기부가 너무 어렵다는 것은, 해당 생기부가 드러내고자 하는 전문성에 이르는 데 필요한 기초가 학생에게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실력을 넘어서는 내용을 언급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수학과를 지망하는 학생이 생기부에서 갈루아 이론을 언급했다고 해보겠습니다.

어디까지 이론적으로는 수학에 관심이 있는 고등학생이라면 갈루아 이론을 접하는 일이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고등학생이 갈루아 이론을 공부했다거나 심지어는 이해했다고 쓴다면 어떨까요?

역시나 불가능한 사안은 아닙니다만, 갈루아 이론을 학습하기에 앞서 사전에 공부해야 할 내용이 있습니다.

간략하게 말씀드리자면 군, 환, 체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것에 익숙해져야 할 뿐만 아니라 관련된 선형대수학 내 내용도 알아야 갈루아 이론에 제대로 접근할 수 있을 텐데, 모두 고등학교까지의 교육 과정을 벗어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갈루아 이론을 언급한 생기부를 보는 수학과 교수들은 다소 의아해하거나 심지어는 학생을 의심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갈루아 이론은 대개 대학에서도 2년 정도에 걸쳐 대수학 강의를 들은 후에 공부하게 되니, 일반적으로 생각할 때 고등학생이 쉽게 다룰 수 있는 내용이 아니라는 점이 자명합니다.

그러니 학생이 자신의 실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생기부를 작성했다고 생각하거나, 심지어는 입시에서 높은 평가를 받기 위해 악의적으로 알지도 못하는 내용을 기입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사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생기부를 작성할 때 악의적으로 임하지 않고, 자기 딴에는 아는 내용을 썼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서류 심사에서 이런 평가를 받는다면 억울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절대 다수의 학생이 자신에게는 너무 어려운 내용을 생기부에 기입한다는 점입니다.

설령 서류 단계에서는 일단 학생을 의심하지 않고 붙여주더라도, 이후 면접에서 검증차 갈루아 이론과 관련된 내용을 물어본다면 학생은 어떻게 될까요?

분명 자신조차 알지 못했던 빈틈을 들키고 말 것입니다.

 

물론 제가 예시로 든 갈루아 이론과 같은, 학부 수준에서도 만만치 않은 사안을 고등학생이 이해하고 있다면 이는 명백히 훌륭한 일입니다.

하지만 대다수 고등학생은 기껏해야 자신이 알고 있다고 착각할 뿐, 그것을 정말로 잘 알고 있지 못합니다.

그러니 일반론적으로 말하자면, 생기부를 작성할 때는 자신이 관심 있고 잘하는 분야에서 약간만 중등교육 과정을 벗어나는 수준으로 탐구했다는 식으로 작성하는 편이 안전하다는 것을 염두에 두시길 바랍니다.

진세인 멘토였습니다.

 

  • 전교 1등의 수학 내신 준비, 이렇게 다릅니다
    • 수학 공부법 멘토

    최정인 멘토(고려대학교 생명과학부) “진도가 아니라 밀도가 중요하다” 고등학생이라면 누구나 수학에 한 번쯤은 벽을 느낍니다. 성적이 잘 오르지 않거나, 아무리 열심히 해도 뭔가 빠진 듯한 느낌. 이럴 때, 상위권 학생들은 어떻게 수학을 공부할까요? 단순히 학원을 많이 다니고, 진도를 빨리 나간다고 해서 전교 1등이 ...

  • 수학, 열심히 하는데 왜 성적이 안 오를까?
    • 수학 공부법 멘토

    박진우 멘토(서울대 재료공학과) 수학을 공부하면서 이런 생각 해봤나요? '나 진짜 열심히 했는데, 왜 성적이 그대로지?'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학원도 열심히 다녔고, 할 거 다 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게 진짜 ‘공부’였는지, 그냥 자기만족에 불과한 것은 아니었는지, 그리고 그 공부가 ‘시험에 맞는 전략적인 공부...

  • 수학 공부,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 수학 공부법 멘토

    구명륜 멘토(연세대 치과대학) 복습 노트와 오답 노트로 만드는 수학 공부 루틴 “수학 공부는 해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공부 상담을 하다 보면 정말 자주 듣는 말입니다. 그냥 문제집을 펴놓고 멍하니 앉아 있기만 한 경험, 한 번쯤은 다들 있으실 거예요. 오늘은 막연하게 느껴졌던 수학 공부를 구체적...

  • 수학 문제 풀이, 꼭 해설지처럼 써야 할까?
    • 수학 공부법 멘토

    염경호 멘토(고려대 바이오시스템의과학) 수학 공부를 시작하면 꼭 듣는 말이 하나 있죠. 문제 풀 땐 식을 한 줄 한 줄 깔끔하게 해설지처럼 써야 한다!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이 조언을 따라 풀이노트를 또박또박 줄 맞춰서 깔끔하게 쓰려고 노력합니다. 물론, 이런 방식이 도움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수학적 사고 과정...

  • 수능 수학 100점을 받는 공부법? 있어!
    • 수학 공부법 멘토

    김유석 멘토(연세대 건축공학부) 오늘 포스팅 주제는 수학을 잘한다 하는 학생들 중에서도 100점을 받고자 노력하는 친구들을 위한 것입니다. 간혹 수학을 괜찮게 하니까 시험에선 어떻게 되지 않을까~ 하고 요행을 바라는 친구들이 있어요. 100점이라는 것은 수학을 잘한다는 것만으로 받을 수 없는 점수입니다. 수학의 본...

  • 나에게 맞는 수학 공부법은 무엇일까
    • 수학 공부법 멘토

    강찬영 멘토(서울대 전기전자공학부) 요즘 MBTI별 공부방법이라는 콘텐츠들이 유행하는데요. 학생의 상황과 성격에 따라 달리 공부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에는 저도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멘토도 학생들에 따라 각각 문제점을 진단하고 공부방법을 다르게 멘토링하게 되거든요. 특히나 수학이란 과목이 기초가 탄탄하지 않...

  • 수학 개념노트 제대로 쓰고 싶다면
    • 수학 공부법 멘토

    김민정 멘토(고려대 생명공학부) 수학 공부에서 개념노트가 중요하다는 말,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들었을 겁니다. 근데 실제로 개념노트를 쓰려고 보면 "뭘 어떻게 써야 하는거지? 교과서에 나온걸 그대로 베껴 쓰라는 건가? 개념을 쓰고 나면 끝이면 이걸 왜 꼭 써야 해?" 질문이 막 생깁니다. 멘토가 이 질문에 답을 하자면,...

  • 초등학교 고학년, 수학 선행학습을 해야 할까?
    • 수학 공부법 멘토

    많은 학부모님들이 고민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수학 선행학습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입니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 때까지는 아이가 학교 다니기를 즐거워하고 건강하기만 해도 별다른 걱정이 없는데, 5-6학년 정도가 되면 슬슬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시야에 들어오기 때문인지 이런 고민을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은 듯...

  • 서울대 수학과 멘토의 수학 문제집 리뷰: 쎈 VS 자이스토리
    • 수학 공부법 멘토

    0: 수학 문제집을 풀기 전, 문제집의 특성을 고민하라 수학 공부를 할 때 개념서 외에 문제집으로도 공부해야 한다는 점은 모두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딱히 어려운 일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각 문제집의 특성을 고민해보는 일은 드문 것 같습니다. 조금만 생각해 보면 자신의 실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는 ...

  • 절대 다수의 학생들이 생기부 작성할 때 실수하는 이것
    • 수학 공부법 멘토

    안녕하세요, 서울대 수학과 진세인 멘토입니다. 저는 서울대에 수시로 진학했고, 지금도 여러 대학에 수시 진학을 생각하며 생활기록부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들을 돕고 있습니다. 그런데 멘토링 활동 중에서뿐만이 아니라 과거 학원에서 일하거나 과외를 하던 시기의 경험을 되돌아보면, 절대 다수의 학생들이 생기부를 작성...

태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