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빈 멘토(서울대 의과대학)

 

수능 만점자가 들려주는 수학공부법 (1) 

학생들을 만나다 보면

“저 수학은 꽤 잘해요”

이런 말을 듣습니다.

실제로 1등급을 받고 있다면, 그 말이 틀린 건 아니죠.

하지만 수능 만점을 받아본 입장에서 말하자면, 

1등급은 잘하는 게 아니라, 아직 틀릴 수 있는 단계입니다.

그리고 그 틈을 메우는 방법은 ‘개념 공부’입니다.

 


 

저도 수학을 꽤 잘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현역 수능을 준비할 때, 수학을 자신 있는 과목이라고 생각했어요.

실제로 모의고사에서 항상 1등급이 나왔고,

당연히 수능도 잘 볼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만점’은 아니었죠.

그래서 재수할 때 저는 마음을 고쳐먹었습니다.

     “내가, 생각보다 모르는 게 많을지도 모르겠다.”

이렇게요.


 

개념서를 다시 펴니, 약점이 보이기 시작

1등급이 나왔기 때문에, 사실 약점이 거의 없을 거라 생각했어요.

그런데 개념서를 처음부터 다시 보면서 느꼈습니다.

 

“어라? 이건 왜 이렇더라?”

“이 개념은 예외가 있었나?”

“이 정의가 적용되지 않는 상황은 뭐지?”

 

이런 질문이 쏟아졌고,

제 수학 개념의 바닥은 생각보다 구멍이 많았습니다.

 


 

1등급과 만점 사이, 그 얕고도 깊은 간극

현역 때의 저도 분명히 실력 있는 학생이었습니다.

하지만 수능 만점을 받고 나서 돌아봤을 때,

그때의 실력과 지금의 실력 사이에는 상상 이상으로 큰 차이가 있었어요.

문제는 뭐냐면,

자신이 그 간극을 인지하지 못한 채 자만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개념을 이렇게 공부했습니다

✔️ 개념서를 다시 처음부터, 모르는 것처럼

✔️ 정의와 조건을 말로 설명

✔️ 적용 사례와 반례 스스로 정리

✔️ 문제를 틀리면 해설보다 개념서로 돌아가기

✔️ “이 개념이 없으면 어떤 문제가 틀릴까?”를 스스로에게 묻기

이건 단순한 복습이 아니라

사고 체계를 정리하고 단단히 다지는 과정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질문은 똑같이, 제가 가르치는 아이들에게 적용됩니다. 

'개념을 안다'는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분명히 자신의 것이 맞는지 확인시켜주기 위해서입니다. 

 


여러분에게 전하고 싶은 말은...

1등급을 받는 실력이라도 그 안에는 반드시 구멍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구멍은 개념서 안에 있습니다. 

그걸 찾아내는 건 여러분의 겸손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이렇게 생각해 주세요.

 

“나는 개념을 안다”가 아니라

“나는 놓친 개념이 있을 수 있다”

라고요. 

그 태도로 개념을 다시 들여다보는 순간,

1등급을 넘어서 진짜 실력자가 됩니다.

 

 

 

 

 

 

제목
수능 만점자가 얘기하는 개념학습의 본질 file
중학생 때 이렇게 공부하면 고등학교가 수월해집니다 file
의대를 목표로 한다면, 이과 수업만 듣지 마세요 file
이규현 멘토 / 서울대 의과대학 file
수학 내신, 문제가 바뀌어 출제되는데 어떻게 대비하죠? file
의대 진학하고 싶은 중학생, 수학 선행은 얼마나 해야 할까? file
의대 합격을 위한 외대부고 내신 관리법 file
서울대 의대에 가는 생기부 작성법 file
이재혁 의대로드맵 멘토 / 서울대 의과대학 file
이주왕 의대 로드맵 멘토 / 고려대 의과대학 file
조용준 의대 로드맵 멘토 / 연세대 의과대학 file
이주영 의대 로드맵 멘토 / 연세대 의과대학 file
유연수 의대 로드맵 멘토 / 서울대 의과대학 file
이유현 의대 로드맵 멘토 / 가톨릭대 의과대학 file
정현빈 의대 로드맵 멘토 / 서울대 의과대학 file
김정현 의대 로드맵 멘토 / 서울대 의과대학 file
조민호 의대 로드맵 멘토 / 서울대 의과대학 file
태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