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영쌤.png

 


 

아이 스스로 당당하게 세상 위에 설 수 있게 이끄는 멘토, 이지영입니다

 


“나를 사랑하니까 나는 공부한다.”

 

    한 교육업체의 광고문구지만, 왜 공부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훌륭한 문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왜 공부를 하나요? 1등 성적표 가져오면 엄마가 좋아하니까? 좋은 대학에 들어가면 아빠가 자랑스러워하시니까? 엄마친구 딸하고 비교되기 싫으니까? 아빠친구 아들 때문에 기죽지 않으려고? 공부가 성적 그 자체, 대학 그 자체로 본말전도된 세상이라 왜 공부하는지를 모두 잊어버린 모양입니다.

 

    어릴 때는 힘든 일이나 곤란한 일이 있어도 부모님의 도움 아래 판단하고 해결할 수 있지만, 사회에 발을 디디게 되면 더 이상 부모님이 도와주실 수 없는 일들 투성이인 곳이 세상입니다. 가령, 장래희망이 판사라고 합시다. 폭행사건으로 기소된 가해자와 피해자가 각기 판사 앞에서 자기 입장을 강변합니다. 이 사람 얘길 들어보면 이 사람 얘기가 옳고, 저 사람 얘길 들어보니 저 사람 얘기가 또 옳네요. 그럼 판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엄마한테 가서 물어볼까요?

 

공부는 결국 세상을 살면서 부딪치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우는 것입니다.

 

    미분적분 배워서 슈퍼마켓에서 물건 살 때 쓰냐고, 프랑스혁명의 원인을 몰라도 사는데 지장 없다고 농담 삼아 얘기들 합니다. 수학을 배움으로써 문제를 단계별로 해결하는 논리적인 사고력이 발달하고 역사를 앎으로 인해 과거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고 한 걸음 더 멀리 내딛을 수 있다는 것은 생각해보지 않고서. 왜 공부를 하는지에 대한 것부터 정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모님의 걱정과 염려도 결국 자녀가 잘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지만 아이가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본인도 모르는 상태에서는 그저 잔소리와 간섭에 불과합니다. 오히려 공부에 대한 부담감과 거부감만 생길 수 있지요. 아이로 하여금 자신이 왜 공부하는지 그 이유를 정확히 깨닫게 한다면 공부하려는 의지도 태도도 정립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의 기대나 선생님의 권유 때문이 아니라 나를 위해서 하는 것이니까요.

 

하지만 의욕만 앞선다고 다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달리기를 잘 한다고 해서 다 결승선에 도달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방향을 제대로 설정하고 결승점에 도달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그것도 내게 맞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누구도 대신 해주지 못하는 (걱정은 대신 많이 해줍니다만^^) 공부, 그 외로운 싸움을 지치지 않고 계속 달려나갈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바로 진정한 멘토 아닐까요.

 

    자신의 미래를 위해, 앞으로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나 자신을 위해 공부할 수 있도록 그래서 세상을 향해 도약할 수 있도록 디딤돌을 놓아주려고 합니다. 그것이 먼저 공부하고 먼저 입시를 통과하고 먼저 세상을 살아본 인생 선배로서 후배들을 도울 수 있는 제일 좋은 방법일테니까요.

 


연세대 신문방송학과 졸업

 

제목
설은수 수학 멘토 / 서울대 기계항공공학과 졸업 File
  • 정민채 멘토 /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졸업

    <자기소개 및 공부 방법> 삼수를 결심하게 된 과정과 나만의 동기부여 방법 저는 대전 외국어고등학교 프랑스어 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진학했습니다. 고등학교 졸업 당시 반에서 5명 정도는 수시로 최상위 대학교에 많이 진학했죠. 내신 관리가 잘 안 되었다면 수능을 집중해서 정시로 진학한 친구들이...

  • 이현민 멘토 /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졸업

    중학교 시절의 저는 공부에 딱히 열의가 있던 학생이 아니었습니다. 부모님이 성적에 대한 기대치가 높지 않으셨고, 교육열이 높지 않은 환경에서 자라다 보니 공부를 열심히 할 필요도, 욕심도 느끼지 못했습니다. 평소에 도서관에 가서 책을 읽는 것과 미국 드라마를 보는 것을 좋아했기 때문에 학교 수업은 우선 순위에서...

  • 서보현 멘토 /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졸업

    가장 강조하고 싶은 공부법 – 암기 학습! 제가 가장 강조하는 공부법은 암기입니다. 수학도 유형을 최대한 암기하려고 노력했죠. 과학은 가장 암기가 중요한 과목입니다. 그래서 개념을 통으로 암기하며 공부했습니다. 이해하면서 암기하기보다는 암기하면서 이해하려고 했던 것이죠. 물론 이해를 통한 암기가 가장 학습다운...

  • 최도현 멘토 /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졸업

    전략과 실천 많은 학생이 필승 공부법, ‘한 권으로 끝내기’ 교재, 무조건 1등급 만들어주는 인강 강사를 찾습니다. 한편 많은 학부모님은 수상실적이 화려한 고학력 과외 선생님을 찾고, 서울대 배출 실적이 높은 학원을 찾습니다. 필승, ‘한 권으로 끝내기’, 1등급, 고학력, 서울대. 이 단어들이 눈에 잘 들어오시나요? 저...

  • 최진영 멘토 /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졸업

    공부- 분위기와 흥미 많은 학부모님들은 제게 어떻게 하면 아이가 공부를 잘 할 수 있는지를 물어보곤 했습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두 가지를 말씀드리곤 했습니다. 그것은 공부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과 흥미를 느끼게 해주는 것입니다. 공부는 사실 잘하게 되면 재미가 있습니다. 7살 때의 저는 덧셈 뺄셈이 취미였...

태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