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성쌤.jpg

 


    "인생은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자기 이해 말입니다. 그런데 자기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나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내가 살아가는 세계에 대해 이해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이것이 바로 공부이죠. 이런 의미에서 공부는 곧 아이의 인생과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저는 강남 8학군에서 학교생활을 할 당시, 12년간 사교육을 받지 않고 오로지 혼자서 자기주도적으로 공부를 했습니다. 그러면서 깨달은 것이 있습니다. 공부에서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모르는 부분 혹은 부족한 부분이 있는 채로 다음으로 넘어가지 않는 것’이란 사실 말입니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분할 줄 아는 능력’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자기자신이 확실히 알고 있는 것을 자신의 앎으로 받아들이고, 자신이 모르는 것에 대해서는 의문을 품고 알려고 하는 것, 이것이 바로 공부의 ‘정도(正道)’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아이들은 공부의 전제가 되는 것, 즉 자기자신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분하는 것조차 어려워하고 힘들어합니다. 저는 아이 옆에서 이런 부분부터 시작해 결과적으로 아이가 진정 ‘공부’할 수 있도록 차근차근 돕는 멘토가 되겠습니다.

 

    혹시 달 탐사 로켓이 달까지 어떻게 가는지 아십니까? 달 탐사 로켓은 달을 목표로 하고 지구를 떠납니다. 흔히들 달 탐사 로켓이 달까지 가는 것을 “출발지랑 도착지만 입력하면 컴퓨터가 알아서 계산해서 가는 것이겠지” 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로켓은 달까지 한 번에 날아가지 않습니다. 출발지를 떠나는 순간부터 끊임없이 자기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궤도를 수정하며, 목적지를 생각하면서 초당 수천수만 번이 넘는 계산을 합니다. 그 결과 소수점 아래 30자리까지의 오차 이내로 목표에 도달하게 됩니다. 탐사 로켓이 목표한 지점에 안정적으로 착륙하는 것은 매 순간 자기 자신을 돌아보게끔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목표를 찾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목표를 ‘찾는’ 것과 목표까지 ‘나아가는’ 것은 다릅니다. 목표를 찾았다고 해서 자연스레 그 결과에 도달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아이들은 목표를 이루는 과정이 눈에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힘들어 합니다. 계단 열 개를 한 번에 오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하나씩 하나씩 차근차근 밟아가다 보면 결국 오르게 되는 것입니다. 아이들에게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고, 아이가 걷는 그 한 발짝 한 발짝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멘토가 되겠습니다. 나아가 아이가 자기 자신을 발견하여 자신의 인생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게 된다면 그것은 저에게도 더없이 큰 기쁨이 될 것입니다.
 

제목
설은수 수학 멘토 / 서울대 기계항공공학과 졸업 File
  • 원지수 멘토 / 연세대 스포츠응용산업학과 졸업 / 압구정고 졸업

    안녕하세요, 압구정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멘토로서 활동하고 있는 연세대 스포츠 응용산업학과 멘토 원지수입니다. 지난 몇 년간, 열 명이 넘는 서로 다른 아이들을 만나고, 지도해왔습니다. 그 경험에서 새로이 배우고 느낀 것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중, 고등학교에서 공부하면서 느낀 것들, 그리고 멘토로서 아이...

  • 권소현 멘토 / 연세대 영어영문학과, 심리학과 졸업

    안녕하세요, 분당영덕여고를 졸업한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심리학을 복수전공한 권소현 멘토입니다. 학생은 곧 과거의 저 자신입니다 멘토로서의 저 자신을 소개하기 위해서는 제가 학생들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먼저 말해야 합니다. 학원에서 일할 때는 한 번에 스무 명 정도의 학생들을 상대했습니다. 3명으로 시작해 ...

  • 김승현 멘토 /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09학번,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11학번

    연세대학교 전기 전자공학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을 다닌 멘토 김승현입니다. 지난 십수 년간, 다양한 경험을 쌓아왔습니다. 학생을 지도하는 데 있어 저의 특이한 점이라고 한다면, 교육 외의 경험도 다채롭게 쌓았다는 점입니다. 대학생이 되고 나서, 다양한 아르바이트를 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습니다. 학원조교, 뷔...

  • 이정현 멘토 / 고려대 철학과 졸업

    안녕하세요. 담임 멘토 이정현입니다. 지속 가능한 공부의 조건: 공부를 해야 할 이유 고등학교 3학년, 저는 꿈꾸던 전공을 포기했습니다. 고등학교 2학년부터 3학년 9월까지 미대를 준비하다 진로를 틀어 철학과를 지망하게 된 것입니다. 초등학생 때부터 쭉 미술을 좋아했음에도 그만두기로 결정한 이유는, 돌이켜 보면 단...

  • 조성지 멘토 / 서울대 국어교육과 졸업

    안녕하세요, 서울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담임 멘토로 활동하는 조성지입니다. 사범대에 있으면서 교육을 전공하며, 생각하고 느낀 바가 적잖이 있습니다. 중고등학교 생활, 대학생활을 거치며 또래를 비롯한 많은 학생들을 만나왔습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에 대한 저의 생각을 이야기해볼까합니다. 장기적으로...

태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