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연조 멘토(서울대 건축학과)

 

수학 성적이 좀처럼 오르지 않는다고 느낄 때, 우리는 종종 '문제를 더 많이 풀어야 하나?', '진도를 더 빨리 나가야 하나?' 라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멘토가 공부했던 방법은 달랐어요.

그리고 영재학교에서 배운 수학 역시 정답만 빨리 찾고 양을 많이 늘리는 것과는 다른 공부방법을 가르쳐주었지요.

 

수능시험에 맞춘 공부에 익숙하다 보니, 수학을 마치 정답을 빨리 맞히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는 과목처럼 보기 쉬운데요. 사실 정답을 빨리 찾는 것보다 더 주용한 것은 '내가 왜 이렇게 풀었는지'를 알고 있는 것입니다.

 

저도 수학의 흥미를 완전히 잃었던 적이 있어 어떻게 하면 다시 수학에 재미를 붙일 수 있는지를 알고 있거든요. 멘토의 공부방법을 따라온다면, 수학에 거부감을 느끼고 두려웠던 친구들도 수학에 재미를 느낄 수 있을거라 확신합니다.

 


 

수학, 혼자 오래 고민하면서 다시 재미를 느끼게 되다

멘토도 수학을 곧잘 하는 학생이었습니다. 하지만 경시대회 준비로 유명한 학원에 들어가서 빠르게 진도만 나가는 수업에 지쳐 수학에 흥미를 완전히 잃은 적이 있었어요.

진도 중심으로 나가는 수업에 질려 버린 겁니다.

 

그래서 학원을 그만두고 혼자 문제집을 풀었습니다.

진도가 중요하지 않으니 어려운 문제가 나오면 혼자서 끝까지 고민해보고

시간 제약 없이 붙들고 있으면서 문제를 풀 수 있었죠.

그렇게 수학 문제를 풀다 보니 성취감이 들면서 다시 수학에 흥미를 붙이게 되었어요.

이렇게 공부해둔 것이 영재학교에 가서 공부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었죠.

 

 

영재학교의 수학은 '풀이과정'이 실력이다

경기과학고에 입학한 후, ‘문제를 얼마나 빨리 푸느냐’보다

‘풀이 과정을 어떻게 논리적으로 설명하느냐’가 더 중요한 곳에서 수학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고1-2학년에 고교 과정을 끝내고 고2부터는 선형대수나 미적분 같은 대학과정을 수강할 수 있게 되어 있거든요.

수능처럼 정해진 시간 내에 빠르게 답을 찾아내는 문제가 아니라 논리적인 사고력을 묻는 문제들이 많아요.

그래서 저도 진도보다 사고력을 더 중시하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대신 안 풀어줘요

멘토가 수학을 가르칠 때면 문제를 풀어주지 않습니다.

문제를 풀어주는 대신, “이건 어떻게 풀 수 있을까?”, “이 방향은 어때?” 식으로 학생이 스스로 고민하게 만듭니다.

답을 알려주면 금방 풀긴 하지만, 그건 학생의 풀이가 아니거든요.

내가 고민해서 만든 풀이가 있어야 그게 진짜 실력이 되기 때문입니다.

 

시간은 오래 걸릴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가 생기고,

한 번 스스로 풀어낸 문제는 절대 잊지 않게 됩니다.

 

만일 누군가 '영재학교 들어간 사람이니 수학을 잘하니까 그렇지' 하고 생각한다면

제가 가르친 학생들은 수학을 잘 못하는 친구들도 있었다는 걸 얘기해주고 싶습니다.

자신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 알고 있는 것을 설명하고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에 그 지식을 활용했다는 것에서 느끼는 성취감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즐거움이거든요.

누가 시켜서, 가르쳐준 방법을 따라하는 것 말고, 스스로 이해하고 풀어내는 과정에서 얻는 성취감은 수학에 재미를 느끼기에 충분합니다.

 


 

이런 학생이라면, 이 공부법이 잘 맞아요

각자 자기에게 맞는 공부방법이 있는데요, 다음과 같은 학생들에게는 특히 효과적입니다.

 

✅ 수학에 흥미는 있지만, 학원 진도가 벅차게 느껴지는 학생

✅ 문제는 많이 푸는데 성적은 잘 안 오르는 학생

✅ 실전 문제에서 자주 막히고, 응용력이 부족한 학생

✅ 수학을 잘하고 싶은데 자신감이 없는 학생

 

내가 스스로 해냈다는 경험이 반복되면, 수학이 무섭지 않게 돼요.

그게 공부를 계속할 수 있는 힘이 되죠. 

 

 


 

 

수학 공부, 이렇게 바꿔보세요

 

🔹 개념을 깊게 이해하고, 설명해보기

🔹 정답보다 풀이 과정 중심의 학습

🔹 틀린 문제를 다시 분석하고, 스스로 접근해보기

🔹 진도보다 내 사고의 속도를 우선시하기

 

수학의 공부 방향이 제대로 잡혀 있으면 속도는 저절로 따라옵니다.

수학 공부에 자신이 없다고 느낀다면, 혹시 지금 너무 ‘빨리 가려는’ 건 아닐까요?

속도를 줄이고, 내가 진짜 이해하고 있는지 점검해보세요.

 

수학은 손으로 빨리 푸는 게 아니라,

생각하는 법을 배우는 과목이에요.

그 힘은 한 문제씩 천천히 고민한 시간 속에서 자랍니다.

 

혼자 하기 어렵다면, 방향을 함께 잡아줄 수 있는 멘토도 필요할 수 있어요.

수학 공부법이 막막할 땐, 스스로 이해하는 시간을 만들어주는 ‘느린 공부’가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 빨리 푸는 것보다 ‘내 힘으로 이해하는 시간’이 중요합니다 new
    • 수학 공부법 멘토

    홍연조 멘토(서울대 건축학과) 수학 성적이 좀처럼 오르지 않는다고 느낄 때, 우리는 종종 '문제를 더 많이 풀어야 하나?', '진도를 더 빨리 나가야 하나?' 라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멘토가 공부했던 방법은 달랐어요. 그리고 영재학교에서 배운 수학 역시 정답만 빨리 찾고 양을 많이 늘리는 것과는 다른 공부방법을 가...

  • 태도를 바꾸면 1등급, 됩니다
    • 수학 공부법 멘토

    강성윤 멘토(고려대 경제학과) 아이들이 스스로 수학 공부하게 만들 수 있다?! 공부는 원래 하기 싫은 거라고들 합니다. 특히 수학은 어렵고, 재미도 없고, 성적은 오르지 않고 그래서 많은 학생들이 수학 앞에서 ‘포기’를 말합니다. 하지만 멘토는 숙제를 강제로 시키지도 않고, 남아서 문제를 풀게 하지도 않지만, 학생들 ...

  • 상위권을 향한 수학 공부 전략(2) - 수능편
    • 수학 공부법 멘토

    김병준 멘토(고려대 의과대학) 고등학교 수학, 특히 내신과 수능을 모두 잡는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은 아마도 ‘단순히 평균 이상의 성적’이 아니라 진짜 상위권, 더 나아가 최상위권을 목표로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일텐데요. 상위권을 목표로 하는 학생, 혹은 이미 상위권이지만 점수가 막혀 있...

  • 상위권을 향한 수학 공부 전략(1) - 내신편
    • 수학 공부법 멘토

    김병준 멘토(고려대 의과대학) 고등학교 수학, 특히 내신과 수능을 모두 잡는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은 아마도 ‘단순히 평균 이상의 성적’이 아니라 진짜 상위권, 더 나아가 최상위권을 목표로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일텐데요. 상위권을 목표로 하는 학생, 혹은 이미 상위권이지만 점수가 정체되...

  • 수학은 양치기? 100문제 풀지말고 10문제만 풀자!
    • 수학 공부법 멘토

    이하빈 멘토(고려대 수학과) 단순한 양치기 공부는 이제 그만! 진짜 실력을 키우는 ‘서술형 수학 공부법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의 공통점은 뭘까요? 많은 문제를 푸는 것일까요? 아니면 어려운 문제집을 푸는 걸까요? 중하위권의 생각과 다르게, 무작정 문제를 많이 푸는 방식은 학습 효과를 보장하지 못하고 오히려 실력 향...

  • 전교 1등의 수학 내신 준비, 이렇게 다릅니다
    • 수학 공부법 멘토

    최정인 멘토(고려대학교 생명과학부) “진도가 아니라 밀도가 중요하다” 고등학생이라면 누구나 수학에 한 번쯤은 벽을 느낍니다. 성적이 잘 오르지 않거나, 아무리 열심히 해도 뭔가 빠진 듯한 느낌. 이럴 때, 상위권 학생들은 어떻게 수학을 공부할까요? 단순히 학원을 많이 다니고, 진도를 빨리 나간다고 해서 전교 1등이 ...

  • 수학, 열심히 하는데 왜 성적이 안 오를까?
    • 수학 공부법 멘토

    박진우 멘토(서울대 재료공학과) 수학을 공부하면서 이런 생각 해봤나요? '나 진짜 열심히 했는데, 왜 성적이 그대로지?'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학원도 열심히 다녔고, 할 거 다 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게 진짜 ‘공부’였는지, 그냥 자기만족에 불과한 것은 아니었는지, 그리고 그 공부가 ‘시험에 맞는 전략적인 공부...

  • 수학 공부,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 수학 공부법 멘토

    구명륜 멘토(연세대 치과대학) 복습 노트와 오답 노트로 만드는 수학 공부 루틴 “수학 공부는 해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공부 상담을 하다 보면 정말 자주 듣는 말입니다. 그냥 문제집을 펴놓고 멍하니 앉아 있기만 한 경험, 한 번쯤은 다들 있으실 거예요. 오늘은 막연하게 느껴졌던 수학 공부를 구체적...

  • 수학 문제 풀이, 꼭 해설지처럼 써야 할까?
    • 수학 공부법 멘토

    염경호 멘토(고려대 바이오시스템의과학) 수학 공부를 시작하면 꼭 듣는 말이 하나 있죠. 문제 풀 땐 식을 한 줄 한 줄 깔끔하게 해설지처럼 써야 한다!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이 조언을 따라 풀이노트를 또박또박 줄 맞춰서 깔끔하게 쓰려고 노력합니다. 물론, 이런 방식이 도움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수학적 사고 과정...

  • 수능 수학 100점을 받는 공부법? 있어!
    • 수학 공부법 멘토

    김유석 멘토(연세대 건축공학부) 오늘 포스팅 주제는 수학을 잘한다 하는 학생들 중에서도 100점을 받고자 노력하는 친구들을 위한 것입니다. 간혹 수학을 괜찮게 하니까 시험에선 어떻게 되지 않을까~ 하고 요행을 바라는 친구들이 있어요. 100점이라는 것은 수학을 잘한다는 것만으로 받을 수 없는 점수입니다. 수학의 본...

태그 목록